학습된 무력감
교사가 학교에서 조작적 조건화 과정을 적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학생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행동 수정에 관심을 갖는 경우이다. 즉 행동의 결과를 통제하여 학생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려는 활동이 행동 수정이다. 예를 들어 숙제를 제출하거나 원만한 교우관계를 맺는 등 바람직한 행동은 증가시키고, 공격적인 행동을 하거나 수업 시간에 소란스럽게 하는 등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감소시키려고 노력한다. 그러나 행동 수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생 스스로 자기 행동을 통제하고 수정할 수 있는 자기 조절력을 지니게 하는 것이다. 단, 이 행동 수정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는 그 대상이 쥐 나 비둘기와 같은 동물이 아니라 인격을 지닌 인간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. 교사는 학생들을 인간으로서 존중해야 하며, 특정 행동을 조성하는 것이 ..